안녕하세요 메테오입니다. 오늘은 펀드의 유형별 특징을 알아볼 건데요 오늘 알아볼 펀드는 상장 지수(ETF) 펀드입니다. 최근 개인 투자자들이 장기채와 상장지수 펀드 ETF로 눈을 돌리고 있는데요 연준(연방준비제도)의 스탠스에 따라 수급상 변동이 커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하시기 전에 저랑 같이 공부해 보겠습니다.
상장지수 펀드 ETF란 무엇인가?
ETF는 특정 지수 또는 가격의 수익률을 추존하는 인덱스(지수) 펀드이다. 기존의 인덱스 펀드와는 달리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과 같은 방법으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이 있다. 거래소 거래시간 중에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고 매매 방법도 일반 주식하고 같아 증권사에 직접 주문은 내거나 HTS(Home Trading system 집에서 매매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전화로도 매매가 가능하다. ETF 인덱스 펀드와 주식의 장점을 고루 갖춘 편리한 상품이다.
ETF의 장점과 단점
ETF의 장점
일반 펀드 대비 투자비용이 낮다. 직접 투자 시 판매보수 및 수수료가 없어 일반 펀드에 비해 저렴하게 투자할 수 있고 매매 비용도 상대적으로 높지 않다.
상품의 투명성이 높다. 일반 펀드는 펀드의 구성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ETF는 HTS 등에서 기초지수를 구성하는 포트폴리오 구성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매일 해당 ETF의 설정과 해지 현황을 공시하는 등 펀드의 투명성이 높다.
소액 투자로 분산투자가 가능하다. 한 개의 주식만 매수해도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에 투자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소액으로도 시장 전체에 투자할 수 있는 효과를 준다. 또한 채권이나 원유와 같이 접근하기 힘든 자산에도 투자를 가능하게 하여 투자자의 분산투자를 도와준다.
환금성이 뛰어나다. 특정 지수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점에선 인덱스 펀드와 동일하지만 ETF는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주식처럼 언제든지 쉽게 매매할 수 있어 환금성이 다른 펀드들보다 좋다. 장중 환매시점을 투자자가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ETF의 단점
ETF의 단점으로는 목표로 하는 특정 지수를 초과하는 수익을 얻기 어렵다. 그래서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을 장기투자하는 데에 목적인 경우가 많다.
포트폴리오 맞춤화의 어려움이 많다. 우리가 투자하는 ETF 안에는 여러 주식이 있는데 내가 투자하고 싶지 않은 주식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들을 제외할 수 없고 진정 맞춤형 투자 방식을 원한다면 개별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
ETF 순자산 가치의 괴리율이 있다. ETF를 구매하는 사람 수와 판매하는 사람 수의 차이가 심하면 ETF의 순자산가치와 다른 시장가격에 ETF가 거래될 수 있다. 괴리율은 대부분의 ETF에 존재해서 투자하려는 ETF를 비교해 보고 괴리율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투자하는 것이 좋다.
ETF의 상장폐지도 조심해야 한다. ETF도 일반 주식처럼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여 거래되기 때문에 추종하는 지수가 소멸되거나 괴리율 추적 오차가 매우 크게 나고 순자산총액이 너무 작아질 경우 등의 특정 사유가 발생하면 상장이 폐지될 수 있다.
ETF 투자시 주의할 점
ETF 투자 시 주의할 점은 위에 단점에서도 설명했다시피 거래량이 많은 것을 선택하고 시가총액이 높고 괴리율 추적오차가 낮은 상품을 골라야 한다. 소문만 듣고서 어떤 ETF가 좋다고 함부로 투자해선 안되고 위 사항을 잘 숙지하고 투자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합성 ETF는 나중에 쓸 건데 합성 ETF는 거래 상대방의 신용에도 위험이 내재되어 있어 주의를 해야 한다.
끝으로.....
펀드의 유형별 특징을 알아보자 2편 상장 지수(ETF) 펀드를 알아봤는데요. 알고 계신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모르고 계신 분들을 위해서 써봤습니다. 오늘도 제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더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그럼 저는 이만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꾸벅!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