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펀드의 유형과 특징을 알아보자 1편 인덱스 펀드와 투자 포인트

경제/펀드 & ETF

by 메테오 2022. 10. 24. 18:00

본문

안녕하세요 메테오입니다. 코스피 지수가 많이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위기는 곧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기회는 여러 종류의 기회가 있겠지만 오늘 제  포스팅을 보고 인덱스 펀드에 대해서 알아 조금이나마 알아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펀드의 유형과 특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 건데요 오늘은 인덱스 펀드와 투자 포인트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제 글을 일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돈이 쌓이는 이미지

인덱스 펀드란?

인덱스 펀드(index fund)는 특정(kospi200)"지수(index)"라는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모방하도록 만들어진 펀드다. 예로 코스피 지수가 10% 상승하면 이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도 같이 동일한 %에 상승률을 보이거나 유사한 비율로 비슷하게 상승하는 방식이다. 반대로 지수가 떨어질 경우에는 하락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는 코스피 200 지수로 거래소의 대표 종목 200개를 시가 비중에 따라 지수화 한 것인데 이 지수가 주식시장 전체를 가장 잘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코스피 200 지수 외에도 해외 주식 지수, 특정 산업 군의 주식 종목으로 구성된 반도체 지수, 은행 지수 등등 다양한 지수가 있다.

인덱스 펀드의 장점과 단점

  • 인덱스 펀드의 장점: 분산 투자에 유리하다. 지수를 구성하는 여러 종목에 나누어 투자하므로 위험성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특정 주식이 50% 하락했다고 내 재산이 반토막이날 위험은 사라진다. 또한운용 비용이저렴하다. 액티브 펀드 대비 리서치(반복해서 찾는) 비중이 낮고 상대적으로 매매를 자주 할 필요가 없어서운용 비용이저렴하다. 보통은 펀드를 관리하고 운용하는 전문가들에게 매일 얼마씩 비용을지불하는 데이를"(총) 보수"라고한다. 액티브 펀드의 총 보수는 연 1%에서 3% 정도로 높다. 좋은 주식을 고르려는 펀드매니저의 수고에 대가를 지불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계적으로 지수를 모방하는 인덱스 펀드는 그럴 필요가 없다. 인덱스 펀드의 보수는 평균 연 0.52%였다. 보수가 다른 펀드에 비해 낮아 장기 운용에 장점이 있다.
  • 인덱스 펀드의 단점: 약세장에서 수익 방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는 주식 편입비를 적극적으로 조절하고 있지 않게 때문에 약세장에서의 해당 주식 편입비가 낮은 펀드들 보다 수익이 낮을 수 있다. 인덱스 펀드는 지수 방어주보다 하락폭이 클 수 있으나 분산투자 등으로 인해 개별 종목에 비해서는 하락폭이 작을 수 있다.

인덱스 펀드의 투자 포인트

이럴 때 투자하자

주가 지수가 꾸준히 상승한다고 예측될 때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가장 합리적인 수익이 기대되고 적은 돈으로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를 내고자 할 때 투자를 고려해 본다.

투자 포인트

목표로 하는 주가지수를 가장 충실히 따라가는 펀드에 투자하면 좋다. 반대로 목표로 하는 지수에 따라 위험과 기대 수익이 달라지는 점을 숙지해야 한다. 또한 인덱스 펀드의 고질적인 문제는 분산투자인데 분산투자는 좋은 점이 훨씬 많겠지만 양날의 검이다. 광범위한 주식들이 다른 펀드의 비해 실적이 저조한 일부 기업들 때문에 수익률이 내려갈 수 있다.

투자시 주의사항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시장 성적 이상만큼 벌고 싶어 한다. 하지만 인덱스 펀드는 하락장이 올 때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보호 장치가 없어 가만히 손놓고 구경하고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럴게 되면 인덱스 펀드를 매도하고 주식시장에 뛰어들 확률이 크다. 그러나 시장은 늘 등락을 반복한다.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것은 이런 시장의 등락을 고스란히 함게 떠안고 간다는 뜻인데 이를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펀드의 유형과 특징을 알아보자 1편 인덱스 펀드와 투자 포인트란 글을 썼는데 유익하게 봐주셨으면 감사합니다. 여러분들도 투자하실 때 장점과 단점을 먼저 보시고 투자하시고 건승하는 하루가 되세요. 다음에는 더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