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펀드의 유형과 특징들을 알아보자 3편 헤지펀드(공매도)

경제/펀드 & ETF

by 메테오 2022. 10. 26. 09:08

본문

안녕하세요 메테오입니다. 오늘은 펀드의 유형과 특징 3편입니다. 헤지펀드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헤지펀드는 보통 우리에게 좋게 들리지는 않습니다. 대형 금융사고가 일어나거나 경제가 요동칠 때 큰 수익을 내는 곳이 헤지펀드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겐 도박사 같은 인식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돈을 벌기 위해선 리스크를 감내해야 될 필요도 있는 거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헤지펀드에 대해서 같이 공부해 보겠습니다. 간단하게 설명은 못 드릴 거 같아서 읽지 않으셔도 좋을 거 같아요.

헤지펀드란?

  • 소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운영하는 사모펀드의 일종으로 헤지펀드는 일반적인 펀드와 달리 국제 증권 및 외환 시장에 투자해 단기 이익을 올리는 자금. 파생상품, 금융상품 뭐든지 투자하는 펀드다. 시장에 대한 노출을 줄이면서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편인데 이것은 엄청난 하이 리스크를 떠안는다. 대신에 그 이상으로 하이 리턴을 받을 수 있다.
  • 벤치마크를 추종하는 펀드와는 다르게 레버리지와 공매도 등 수익 확대를 위해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펀드이다.
  • 우리나라에 들어온 헤지펀드는 자본시장 통합법 개정으로 설립 규정을 제정하고 정부 주도로 헤지펀드를 도입하였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헤지펀드는 한국형 헤지펀드라 한다.

헤지펀드의 장점과 단점

헤지펀드의 장점

헤지펀드는 고수익 또는 위험회피 등을 목적으로 국제 증권시장이나 국제 외환시장에 투자하는 사적 투자조합 또는 투자 계약이라고 정의된다. 즉 이는 고위험 고수익을 목적으로 적극적으로 투자해 어떠한 시장 상황에서도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다. 지금 같은 주식 시장에서 급락을 해도 공매도로 수익을 낼 수 있다. 이는 경기 침체 상황을 안정화 시키는 영향 또한 있어서 장점이 된다.

헤지펀드의 단점

헤지펀드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낮은 투명성과 그에 비해 과하게 높은 위험성, 수수료 등의 문제들이 있다. (하지만 한국형 헤지펀드는 다양한 규제를 입혀 새로운 특징을 가지도록 변형되어 우리나라에 도입하였다.)

헤지펀드의 투자전략(방향성)

헤지펀드의 투자 전략은 펀드 매니저의 실력과 운 철학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 카테고리를 정확하게 나누어서 구분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들에 따라 또는 중요시하는 투자 대상이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형 헤지펀드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법을 예로 설명하겠다.

  • Equity(내 자본)  Long/Short: 현재 한국형 헤지펀드 사업화에 운용되는 상당수의 헤지펀드들은 롱/숏 전략을 사용한다. 이는 어느 한 기업이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을 때 매수(Long)을 하고 고평가 받는 조목에는 공매도(Short)을 해서 양쪽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Fundamental(근본적인) 롱/숏, 전략과 동종업종 에서 저평가 받는 종목을 매수하고 저평가 종목을 공매도하는 페어트레이딩(Pairs Tarding) 기법이 있다. (그냥 저평가 종목이라 생각되면 마수하고 고평가 종목은 공매도도 같이 하는 양쪽 다 투자하는 기법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 Short Selling(공매도): 문제의 공매도다.. 일반적인 주식 투자자들은 주식을 할 때 철저히 올라간다(Long)에 치우친 경우가 많은 반면 이 전략은 반대다 무조건 숏 숏 숏 숏 숏 성과는 매우 기간 편향적이다. 하락장에서는 엄청난 이득을 가져다주지만 상승장에서는 엄청난 손해를 가져다주는 기법이다. 사실 공매도란 것이 손과 비용이 많이 드는 편이라 숏만 운영하기에는 효율적이진 않다.
  • Relative Value(상대 가치 투자): 주로 채권에 대한 투자로 채권수익률 곡선 변화 또는 크레디트 스프레드 변화에 투자하고 전환사채와 주식 간의 상대가치에 대한 투자로 활용되고 있다. 시장의 기대 쏠림 현상이 발생되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자산에 투자해서 위험을 대폭 낮춘 투자 방법이다. 사실 리스크가 없는 투자는 절대 존재할 수가 없다.
  • Event Driven(이벤트 기반/일어나는 일 기반): 특별한 이벤트에 주목하는 전략이다. 합병, 파산 등 기존에 있던 회사가 재편성되고 자사주 매입 등 다양한 일이 일어났거나 그럴 가능성이 높은 이벤트를 이용해 수익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략이다. 향후 일어날 기업 이벤트에 대해 예측해서 투자하는 기법인데 예측이 빛나갈 경우 투자자들에게 엄청난 손실을 줄 수 있는 전략이다.
  • Macro(주식에서의 Macro란 "거시경제"를 뜻함: 이 전략은 거시경제의 변화를 예측해서 주식이나 채권 외환(FX) 원자재 등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주로 해당 자산의 현물보다는 선물을 활용한 전략이라고 보면 된다.
  • Activist lnvesting(활동하는 투자): 기업 경영을 적극적으로 강조하는 전략으로 사모펀드와 유사하게 기업의 일상적인 경영 업무에 대한 참여를 통해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해 수익을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략이다. 이 역시 일반적인 주식 포트폴리오와 마찬가지로 마켓에 대한 노출과 투자한 회사가 가지고 있는 위험에 대한 노출을 가지고 있으며 적극적인 경영참여를 통한 효율 개선 및 기업 가치 극대화를 통해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장점들에서 플러스알파를 창출할 수 있다. 이 같은 개입으로 헤지펀드의 타깃이 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주가가 오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 
  • Quantitative Directionl(양적인 방향): 이 전략은 통상 다양한 시장 및 기초자산 군을 대상으로 해당 산업 및 기업의 경기 사이클별 매수포지션과 매도 포지션을 다양하게 구상하여 유지하는 등 변수가 많고 실행에 민첩한 것이 특징이다.
  • Multi Strategy(다중 전략): 위에 언급된 세부 전략들을 조합해서 운용하는 전략이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세부 전략들 중에서 특정 세부 전략에 50% 이상을 투자하지 않는다.

헤지펀드 주의사항

헤지펀드는 자본시장법상 최소 가입 금액이 1억 원 이상이다. 헤지펀드들은 위에 위에 투자 전략, 방향성에서 언급했다시피 다양하고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헤지펀드에 대해 잘 공부하고 이해하고 투자하기를 바란다. 거액을 펀드에 투자해도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개인이나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헤지펀드 투자 시 숙지하고 유념하길 바란다.

끝으로....

펀드의 특징과 유형들을 알아보다가 어떻게 헤지펀드까지 알아보게 되었는데요. 저도 헤지펀드를 알아보면서 엄청나게 복잡하다는 걸 느꼈습니다. 제가 1억이 있다면 헤지펀드를 투자해도 될지 말지 깊게 생각했네요. 저라면 투자할 거 같긴 합니다. 워낙 모 아니면 도 성향이 강해서요. 여러분들도 투자하실 때나 알아보실 때 이 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저는 다음에 더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그럼 이만 꾸벅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