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과 금리가 더 올라갈 수 있다는 공포감에서 투자 방법은 무엇일까?
지금 현재 투자자가 가져야 될 마인드는 크게 3가지다. 첫째 국제경제 시장 상황을 냉정하게 볼 수 있는 마인드다. 둘째는 반등하는 종목을 더 오를것이라 무작정 생각하며 따라사지 말고 왜 반등했는지 다음엔 어떤 종목이 반등할건가를 생각해야된다. 셋째는 바닥이 어디까지인지 바닥을 포착하는 안몫을 기르는것이다. 이 세가지 마인드를 유념하면서 주식투자 하기를 바라본다.
일단 우리는 경제침채 기간 중 딥 리세션(deep Recession)과 마일드 리세션(Mild Recession)을 알아야 한다. 쉽게 보자면. 딥 리세션은 W자 형태의 경기 회복을 의미하고 마일드 리세션은 Y자형 경기 회복을 의미한다. 지금 같은 경제 위기 시 알아두면 좋은 단어이다. 그리고 일단 투자를 위해선 기준 금리 정점 시기를 알아야 한다. 지금 같은 상황에서 연준(연방 국제제도)가 내놓은 금리 인상은 물가를 잡겠다는 명목하에 금리를 올리는 것이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오늘 한국 기준금리가 빅 스텝(0.5)가 올랐다. 그로 인해 대부분의 주식들이 바닥을 치고 있다. 그렇다면 기준 금리 정점 시기가 언제일까 예상해 보자. 2021년 7월 팬데믹이 완화 대가는 사이에 금리 인상을 하면서 지금까지 금리 인상이 이어져 오고 있다. 그럼 기준 금리 정점을 예측해 보자.
소비자 물가지수는 2022년 7월까지 쭉 치솟다가 7월부터는 완만하게 잡혀가는 모습이다.(근대 오늘 금리 인상을 또 했다고.. $%&*##) 2022년 12월에 한국 기준금리가 빅 스텝(0.5%)가 올라서 물가도 점점 잡혀가는 모양새가 될 것 같다. 그로 인해 긴축 완화가 될 것이라고 나는 기대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지금이 투자 적기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지금부터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유는 긴축 완화 기대감은 시장에 선 반영이 되기 때문이다. 대신 투자를 할 때에는 어떤 업종이 주도를 할 것인가를 염두에 두고 종목이 하락 시 투자를 할 수 있게 투자 자금을 분산하여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투자의 예시
자본금이 100이라 쳤 을때
2022년 10월 금리 인상 시 내 투자 자본금에 20%를 주도하는 업종에 투자
2022년 12월 또 한번 금리 인상 내 투자 자본금 남은 40%를 또 한번 투자
2023년 1분기 긴축 완화 시작 시 남은 40%를 유망 업종에 투자
여러분들도 여러분의 기준에 맞춰서 투자해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금 같은 경제 위기 시 저만의 투자 방법이었습니다. 제 주식투자 방법은 참고만 하시고 여러분도 여러분들의 주식투자 방법을 연구하고 그 가설을 토대로 천천히 투자를 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럼 저는 이만 여기서 물러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화이팅
대만 중국 전쟁하나... 그렇다면 TSMC는? (0) | 2022.10.20 |
---|---|
TSMC와 삼성전자 반도체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주가 (0) | 2022.10.19 |
금과 은의 시세와 투자 시기와 방법 (기타 금속 ETF) (0) | 2022.10.17 |
채권과 주식의 차이점 수익을 얻는 투자 방법 (3) | 2022.10.14 |
달러가 주춤하면 ETF는 어떻게 될까? 금값 은값 (0) | 2022.10.13 |
댓글 영역